와이파이 비밀번호 찾기는 한 번 익혀두면 두고두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저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와이파이를 쓰다가 비밀번호를 까먹는데요.
이 글에서는 우리 집 와이파이 비밀번호 알아내기를 쉽게 할 수 있는 방법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와이파이 비밀번호 찾기 어떻게?
와이파이 비밀번호 알아내기는 와이파이(Wi-fi)가 접속중이라면 더욱 쉽게 찾을 수 있는데요.
Wi-fi에 접속 중이 아니더라도 비번을 찾을 수 있습니다.
PC나 노트북에 무선 와이파이를 접속했던 기록이 남아있어서 CMD(명령 프롬프트)를 이용해 볼 수 있습니다.
우리집 와이파이 비밀번호 알아내기
집에 있는 공유기를 이용하다 보면 이사를 가기 전까지는 건드리는 일이 잘 없더라고요.
그러다 보니 공유기에 설정해놨던 와이파이 비번을 자주 잊어버렸습니다.
그렇다고 옆집 와이파이 비밀번호 해킹을 할 순 없으니 비밀번호 알아내기를 시도해봐야겠죠?
현재 사용하는 노트북(PC 포함)이나 스마트폰이 와이파이에 접속이 되어 있다면 쉽게 몇 번의 과정만으로도 찾을 수 있습니다.
상황별로 접근하는 방법은 다른데 2가지 상황에 따라 참고하셔서 해결하면 됩니다.
Wifi 접속 중이라면
와이파이 접속을 한 상태라면 wifi 비밀번호 찾기는 어렵지 않게 할 수 있습니다.
iptime 와이파이 비밀번호뿐만 아니라 다른 공유기의 wifi라도 찾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1. 모바일에서 QR코드로 찾는 방법
2. PC나 노트북에서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로 찾는 방법
2가지의 방법이 있습니다.
Wifi 접속이 끊겼다면
PC에서 CMD를 이용하여 우리집 와이파이 비밀번호를 찾아보도록 합니다.
접속 중인 WI-fi 비밀번호 찾기
KT 와이파이 비밀번호 설정을 통해서 찾는 방법도 있긴 합니다.
하지만 다른 통신사와 공통적으로 찾을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고자 그러한 방법은 제외했습니다.
먼저, 와이파이 접속 중이라면 모바일에서는 비밀번호를 공유하는 방법을 통해서 찾을 수 있습니다.
QR 코드 공유
순서는 스마트폰 설정 > 연결 > Wi-fi > 현재 네트워크 설정 > QR 코드입니다.
스마트폰에서 현재 접속중인 와이파이를 공유해서 비밀번호를 찾는 방식입니다.
다른 스마트폰이 있어야 하는 단점이 있긴 하지만 주변에 친구나 가족의 핸드폰을 이용할 수 있다면 빠르게 찾을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에서 비밀번호 찾기
PC를 활용해서 찾아보는 방법인데 제어판의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를 통해서 가능합니다.
제어판을 켜는 방법은 다양하게 있는데 제일 쉬운 접근 방법은 윈도우 검색창에서 '제어판'을 검색하는 것입니다.
제어판 >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 > 연결된 와이파이 클릭 > 무선 속성 > 무선 네트워크 속성 보안 순서로 접근하세요.
마지막 창의 보안탭에서 문자 표시를 체크하면 네트워크 보안 키에 감춰졌던 비밀번호가 표시됩니다.
끊긴 와이파이 비번 찾기 CMD 활용
접속이 끊긴 와이파이 비밀번호 찾기 CMD 활용 방법입니다.
CMD는 명령 프롬프트라고해서 명령어를 입력해서 결과값을 찾을 수 있습니다.
netsh wlan show profile 명령어
이 명령어(netsh wlan show profile)로 현재 기기(PC)에서 저장되어 있는 무선 연결된 프로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프로필을 확인할 수 있고 여기에 등록되어 있는 프로필의 와이파이 비밀번호를 찾을 수 있습니다.
없다면 확인이 어렵다는 단점도 있는데 보통 사용 흔적이 남이 있기 때문에 시도해볼 만합니다.
CMD를 켜고 이 명령어를 입력해줍니다.
netsh wlan show profile [profile name] key=clear
이 명령어(netsh wlan show profile [profile name] key=clear)는 해당 프로필의 키 콘텐츠(비밀번호)를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 ] 안에 찾을 와이파이 프로필 이름을 넣고 명령어를 입력해주면 됩니다.
뒤에 있는 key=clear는 키를 공개한다는 명령어이므로 꼭 같이 입력이 되어야 하는 부분입니다.
이 명령어를 통해서 나오는 결과값에서 '키 콘텐츠'라는 항목을 찾아보면 비밀번호가 나타납니다.
결론
와이파이 비밀번호 찾기는 컴퓨터를 조금만 공부해보면 정말 쉬운 부분이더라고요.
어렵게 생각하지 않고 해결해보셨으면 합니다.
좀 더 내용이 알찬 콘텐츠를 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