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차 신혼부부인 김oo 씨와 이oo씨는 정부의 복지정책 덕분에 살림살이에 도움이 되었다고 합니다. 이런 복지 혜택들은 알려주는 사람이 없어서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고 하는데요.
임신부터 출산, 주거, 육아의 문제까지 여러 방면에서 도움이 되는 정부정책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 부모가 된 두사람이 추천하는 글 보러가기
"이런 아내였으면 좋겠어요." 남편들이 말하는 눈에 하트가 생기게 하는 아내의 유형 3가지
신혼부부 관련 복지정책 5가지
1. 신혼부부 주택지원
신혼부부가 결혼하고 나서 가장 먼저 걱정하는 부분은 주거비용입니다. 가족이 함께 살 공간을 마련한다는 의미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요. 주택 지원 정책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행복주택
- 영구임대주택
- 국민임대주택
- 공공임대주택
- 장기전세주택
- 전세임대주택
자세한 내용은 마이홈 홈페이지(myhome.go.kr)에서 확인해보세요.
2. 임신 준비 관련 지원
신혼부부가 걱정하는 또 다른 부분은 자녀를 임신하는 것일 텐데요. 임신 전에도 지원받을 수 있는 항목들이 있습니다.
- 임신 전 건강검진 (각 지자체 보건소)
-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보건복지부콜센터 - 129)
3. 임신 관련 지원
임신 중인 임산부에게 지급되는 항목들도 있습니다.
- 임신, 출산 진료비 (건강보험 가입된 분들)
- 엽산제 철분제 무료 제공 (보건소)
- 고위험 임산부 지원 (보건소)
4. 출산 관련 지원
아이를 낳고나서도 지원 받을 수 있는 복지들이 있습니다.
- 출산장려금 (지자체 주민센터마다 다름)
- 의료기간 외 출산시 출산비 지급 (국민건강보험공단 1577-1000)
-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보건복지부콜센터 129)
- 출산전후휴가 (고용노동부 1350)
5. 자녀 양육 관련 지원
임신부터 출산까지의 지원도 중요하지만 자녀를 낳고서 지원받는 것도 중요합니다. 다음과 같은 항목들은 최대한 챙겨보는 것이 좋습니다.
- 국가예바접종 지원사업 (보건복지부콜센터 129)
- 가정양육수당 (지자체 주민센터 혹은 복지로)
- 아동수당 (주민센터 및 인터넷으로 신청)
- 자녀장려금 (국세상담센터 126)
이외에도 찾아보면 많은 정부 복지정책들이 있는데요. 자신에게 맞는지 조건도 따져봐야 할 것들이 많기도 합니다. 위의 큰 의미에서 5가지 혜택들은 대부분 신혼부부라면 받을 수 있으니 참고하셔서 지원받아 보시길 바랍니다.
✅ 인기 게시물 추천
"이런 아내였으면 좋겠어요." 남편들이 말하는 눈에 하트가 생기게 하는 아내의 유형 3가지
댓글